벤치리뷰·뉴스·정보/고전 스페셜 정보

[고전 2003/02/17] 100MHz 부터 3066MHz까지 65 CPU 벤치마크

tware 2005. 11. 2. 08:00

 

 

 

탐스 하드웨어에서 진행한 65 CPU 벤치마크 입니다.

 

(그래프 범위를 넘어가는 CPU들은 그래프가 잘리기 때문에 " 숫자 "를 잘 봐야 합니다.

펜티엄3E (SDR 100) 800과 펜티엄3EB (SDR 133) 800을 통해서 FSB와 메모리에 따른 성능차이도 알 수 있습니다. 인텔 데스크탑 최초의 하이퍼스레딩 탑재이며, 유일하게 FSB 533 제품에 적용된 환상의 3.06 (하이퍼스레딩과 3Ghz 초과라는 상징성 때문인지.. 수율문제인지...  초기 출시가가 매우 비쌌던 데다, 얼마 안있어서 적당한 가격에 FSB 800에 하이퍼스레딩을 갖춘 노스우드C 출시되었기 때문에, 실제 가지고 있는 사람은 소수). 3.06을 시작으로 해서, 이후 FSB 800 노스우드C 제품에서는 하이퍼스레딩이 일반화 됐죠. 그런데 혹 예전 CPU 가지고 윈XP SP3 깔고 놀고 싶으면, 노스우드C 보다는 프레스컷E (펜티엄4E) 제품을 사용하세요. 노스우드C 제품은 하이퍼스레딩을 켠 상태에서 일부 (거의 없는것 같지만) 구형 소프트에서 성능저하 문제가 있습니다. 누가 그렇다고 하더라 가 아니라, 3.2C, 3.2E를 둘다 가지고 직접 해본 결과가 그렇습니다. 또 이런 것과 별개로 인텔에서 문제점이 발생 할 수 있다고 해서 프레스캇 SSE3에 명령 추가를 했구요. 전체적인 성능도 동클럭 프레스캇이 약간 더 좋습니다.)

 

 

 

 

 

 

 

 

 

 

 

 

 

 

 

 

 

 

 

 

 

 

 

 

 

 

 

 

 

 

 

 

 

 

 

 

 

 

 

 

 

 

 

 

 

 

 

 

아래는 AnandTech 2003년 6월 23일 기사 입니다.

 

http://www.anandtech.com/show/1117

 

Windows XP Professional Test Bed
Hardware Configuration
CPU   
AMD Athlon XP 3200+ (2.20GHz) Barton
AMD Athlon XP 2800+ (2.25GHz)
AMD Athlon XP 2600+ (2.083GHz)
AMD Athlon XP 2500+ (1.83GHz) Barton
AMD Athlon XP 2400+ (2.00GHz)
AMD Athlon XP 2200+ (1.80GHz)
AMD Athlon XP 2100+ (1.73GHz)
AMD Athlon XP 1600+ (1.40GHz)
Intel Pentium 4 3.20
Intel Pentium 4 3.06
Intel Pentium 4 3.0C
Intel Pentium 4 2.8C
Intel Pentium 4 2.80
Intel Pentium 4 2.6C
Intel Pentium 4 2.53
Intel Pentium 4 2.4C
Intel Pentium 4 2.40
Intel Pentium 4 2.26
Intel Pentium 4 1.6A
Motherboard   
ASUS A7N8X - NVIDIA nForce2 Chipset
Intel D875PBZ - Intel 875P Chipset
RAM    2 x 256MB DDR400 CAS2 Corsair XMS3200 DIMM
Sound    None
Hard Drive    80GB Western Digital Special Edition 8MB Cache ATA/100 HDD
Video Cards    ATI Radeon 9700 Pro

 

펜티엄4 3.2 라고 표시되는데, 노스우드B (FSB 533)에서 HT가 없는 것은 2.8GHz가 끝이고, 3.06이 FSB 533MHz + HT (하이퍼스레딩)으로 FSB 533의 마지막이며, 노스우드 FSB 800 펜티엄4 제품은 모두 HT가 있기 때문에 3.2C로 봐야 하겠죠. 다른 노스우드B 제품들과 성능을 비교해 봐도 그렇구요.  즉 그냥 3.2 라고 되어 있지만, 3.2C가 맞다고 봐야겠죠. 본문에도 설명이 딱히 없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yJw3h0klahM&list=PLrM38DyM-7Hc8TnO4Bws0RBtETdlbjAdp

478소켓 펜티엄4 프레스캇 3.2E,865G 내장 그래픽,1080p 720p 프로파일별 H264 재생.

 

 

https://youtu.be/33RZEB1cDhg

펜티엄4 프레스캇 3.2E 865G내장 그래픽 에뮬레이터 구동.

 

 

KT 600 칩셋 보드/엔포스2 칩셋 보드 + AMD XP 3200+,

인텔 865 칩셋 보드/ 인텔 875 칩셋 보드 + 펜티엄4 노스우드 3.2C/3.0C

지포스 6800GT 벤치마크, 윈도우즈 XP

https://youtu.be/AoaMNGQbjc8

 

 

펜티엄 4 윈도우즈 98 도스 게이밍 PC

(영상에서는 펜4 2.0을 썼지만, 865G 보드인 만큼 노스우드C나 프레스캇 고클럭 CPU에 바이오스에서 HT를 off 하고 만들어도 되겠죠. 윈도우즈는 98이라고 써있지만 커맨드 모드에서 1999로 나오며, 하드디스크 볼륨 레이블도 p4_W98SE에 보드도 98se 부터 지원이라서, 윈도우즈 98SE 일테구요. 램은 윈도 98 시리즈 특성 때문에 512MB.

이렇게 만들면 최강 98se 고전 PC 완성.)

https://youtu.be/rr2r_mvKfuQ

 

865 보드의 경우는 SATA 2개와 IDE 2개로(IDE 마다 2개씩) 총 6개의 장치를 달 수 있는데 (Enhance 모드), 98se를 설치한다면, 바이오스에서 IDE 관련 옵션을 호환 모드로 (Compatible 모드. 바이오스에 따라서는 Legacy Mode로 표기) 바꿔서 총 IDE1개 + SATA 로 총 4개의 장치를 사용하게 만들면 됩니다. SATA에 하드를 연결해도 이 하드는 보드에서 IDE 하드인 것 처럼 동작 합니다. 윈도 98SE/ME는 호환모드, 윈도 2000/XP는 확장 모드로 설정하면 되죠.

 

바이오스에 따라서 IDE 메뉴의 차이가 있습니다. 어디까지나 보드(바이오스)에 따라서 다르기 때문에, 각자의 보드마다 차이를 생각해야 합니다. (제가 가진 865 보드의 경우는 , 확장 모드와 호환 모드 설정이 있고, 확장 모드일때 Both , Primary, Secondary, Disabled. 호환 모드일 때 Pri IDE + SATA, SATA + Sec IDE의 메뉴만 있습니다.)

 

[고전 1998/09/01] 새로운 셀러론, 그실력은 어때?

(펜4 윈도98se 글 추가)

 

[고전 1997.09.12] 펜티엄 오버드라이브 프로세서 가격 조사

 

 

[정보분석] 2개의 CPU 개발팀이 경쟁하는 Intel의 사내 전략

 

 

[고전 1999.01.14] CPU 성능 1999년 1분기 톰스 하드웨어

 

 

[고전 1999.02.22] 펜티엄 III 아난드텍 벤치마크

(펜티엄2 오버드라이브 프로세서 포함 벤치마크)

 

 

[고전 1998.08.24] 인텔의 새로운 셀러론 멘도시노와 펜티엄 II 450

 

 

[고전 1999.02.23] AMD와 인텔의 새로운 CPU

 

 

 

[고전 1996/06/05] Cyrix가 Pentium 200MHz 대항 6x86-P200+ 발표

 

 

[고전 1997/10/09] IDT WinChip C6 CPU 벤치마크

 

 

[고전 1997/04/03] AMD, MMX 대응 CPU K6를 발표

 

 

[고전 1999/02/23] AMD, L2캐시 내장, L3캐시까지 대응하는 K6-III

 

 

[벤치리뷰] 컴파일러에 따른 CPU 성능

 

 

[고전 1999.08.11] AMD의 조커는 Socket판 Athlon Select?

 

 

[고전 1999.04.03] SSE 기술을 가진 인텔 펜티엄 III 500 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