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치리뷰·뉴스·정보/리뷰·벤치·제품

[벤치리뷰] 듀얼코어 펜티엄 E 3GHz 오버클럭 평가

tware 2007. 4. 11. 18:30

 

 

 

 

 

 

CPU : Intel Core 2 Duo X6800(LGA775、3.0G、4096K SmartCache L2)
     266 x 11= 2930MHz(DDR2 800 4-4-4-12)
       오버클럭 333 x 9 = 3000MHz(DDR2 833 4-4-4-12)

Intel Core 2 Duo E4300(LGA775、2.13G、2048K SmartCache L2)
      200 x 9 = 1800MHz(DDR2 800 4-4-4-12)
OC 333 x 9 = 3000MHz(DDR2 833 4-4-4-12)

Intel Pemtium Dual Core E2160(LGA775、1.80G、1024K SmartCache L2) L2 Stepping
     200 x 9=1800MHz(DDR2 800 4-4-4-12)
OC 333 x 9 = 3000MHz(DDR2 833 4-4-4-12)

 

AMD AM2 Athlon64 3600+ (65nm、1.9GHz、512K x 2 L2)
     200 x 9.5=1900MHz(DDR2 760 4-4-4-12 1T)
     OC 333 x 9 = 3000MHz(DDR2 833 4-4-4-12)

 

(단순히 클럭만이 아닌, FSB까지 동일하게 설정한 3GHz에서의 성능 차이. AMD와는 아키텍처의 차이. 인텔끼리는 L2 캐시 용량에 따른 차이.

 

앞서 올린 펜티엄 E2160 발매 기사를 올리고, 제가 쓰던 E2180 오버 3GHz의 성능에 대해서 기사 이후에 언급한 것이 있다보니, 더 정확히 알고 싶어서 찾아보고 올립니다.

 

전체적으로 게임으로 가면 동클럭에서 펜티엄에 비해서 콘로가 확실히 좋고, 다른건 조금 차이가 적습니다. 그런데 일반 사용자는 거의 게임이 중요하기는 하죠. (캐시 차이, FSB 차이. 같은 CPU 클럭이라도 FSB가 높을 때 성능이 좋습니다.)

 

 아무튼 그런 관계로 캐시가 적고 클럭이 낮은 셀러론,펜티엄은 사무용. 코어 브랜드는 게임용 이런 얘기가 나오는 거죠. 사무용으로 갈수록 동클럭 성능 차이가 적으니까요. 물론 기본적으로 코어 브랜드쪽이 클럭이 높고, 위로 갈수록 코어 수 차이도 (또는 HT로 논리코어 수 차이) 있기 때문에 사무용도 물론 코어 브랜드가 좋지만, 가격대비로 성능으로 보면 게임보다는 사무용일 때 저가형 브랜드가 더욱 좋아지죠.

 

메인보드 :  Abit AW9D-MAX(Intel 975X)
Gigabyte GA-P965-DS4(Intel P965)For OC
Jetway HA01-GT(nVIDIA nForce550)

 

메모리 : KingBox DDR2-1066 512MB x 2

 

HDD : 히타치 7K250 SATA 250G

 

그래픽 카드 : 엔비디아 지포스 8800GTX

 

운영체제 : 윈도 XP 프로페셔널 SP + DirectX 9.0C

 

http://diy.pconline.com.cn/cpu/reviews/0704/993288_all.html#content_page_1

 

그래프의 클수록(越大越好), 작을수록(越小越好)으로 좋은거 구분하세요.

 

 

 

 

 

 

 

 

 

짧은게 좋음. 시간

 

 

짧은게 좋음

 

 

 

싱글 스레드 / 멀티 스레드

 

 

 

 

 

 

 

 

 

 

 

 

 

 

AMD는 메모리 콘트롤러가 칩셋이 아닌 CPU에 붙어 있어서 메모리쪽 성능이 좋죠.

 

 

에베레스트 메모리 성능 (빨간색이 가장 높은 CPU)

 

 

에베레스트 L1 캐시 성능

(인텔쪽 L1 성능은 그냥 오차수준으로 봐도 되겠죠.)

 

 

에베레스트 L2 캐시 성능.

 

 

아래는 게임 성능. 위의 다른 프로그램도 캐시가 큰 CPU가 좀더 좋을 때도 있지만, 별 차이가 없는 경우도 많은데, 게임은 같은 아키텍처 라면 캐시 큰게 장때 입니다.

 

 

 

 

 

 

 

 

 

 

 

 

 

 

 

 

 

 

 

 

 

 

 

2007년 4월 11일 기사.

 

https://youtu.be/OqBRJlEBauM

듀얼 코어까지만 지원하는 저가형 콘로 보드인 Asrock ConRoe 애즈락 콘로 1333-D667 R1.0 보드에 45나노 코어2 듀오인 E7600을 끼우고 돌려본 영상. 애즈락 제품 홈페이지 바이오스에는 E7000 지원이 안나오지만 실제로는 됩니다. E5000 시리즈도 처음 나왔을 때 해보니까 되더라 여서 다 된다고 알고 있고, E8000 일부 모델도 공식적으로 지원에 있어서 E7000 시리즈도 되나? 중고 5000원 주고 사서 해봤는데 되네요 (지금은 더 쌀듯.. 제가 살 때는 찾아봐도 중고 물건이 없어서..). E8000 시리즈는 FSB 333 (1333 QDR 전송) 제품이라서 PCI 클럭 동반 상승 등으로 여러 문제가 있을 수 있는데 (이 보드는 FSB 299 까지 PCI 클럭 상승 문제가 없죠.), E7600은 FSB 266 (QDR 1066 클럭당 4번 데이터 전송) 이라서 부담이 없죠. 가볍게 FSB만 299로 바꾸면 쉽게 약간의 오버도 됩니다. 뭐 E7000 시리즈가 E8000에 비해서 L2 캐시가 반토막인 3MB 밖에 안되지만, 그래도 이전 세대 65나노 코어2 듀오 E6000 대의 4MB 보다 약간 작고, SSE 4.1 지원에 기존의 SSE2 등 기존 SSE 시리즈의 연산도 더욱 빠르게 처리 할 수 있도록 설계가 되었고, 나누기 연산 속도도 훌씬 빨라졌으니.. 여러모로 E7000 시리즈를 쓰는 것도 좋죠. E7000 시리즈 부터 코어2 듀오에 들어가구요. 45나노 울프 E6000 시리즈나 E5000 시리즈는 다 펜티엄 브랜드죠. SSE4.1 미지원. 해당 보드 가지고 있다면 E7600이나 E7500 정도가 최고의 업그레이드. 물론 돈을 약간 더 투자한다면, 그냥 G31 보드가 더 좋죠. 4코어 제품도 되고, 무엇보다 G31은 945 계열과 다르게 메모리 리맵핑을 칩셋이 지원해서 32/64bit 운영체제에서 4GB를 전체 다 쓸 수 있죠. 메모리 리매핑 지원이 안되는 945는 2GBx2개 끼워도 최대 3.x GB 까지만 되구요. XP 깔고 램은 1GB x 2 로 2GB만 달고 고전겜 용도가 적당. DirectX 9로 돌릴 게임들은 2GB면 충분. 유튜브에서 영상 설명을 보세요.

 

 

 

 

 

[벤치리뷰] 저렴한 울프데일 E7200 리뷰

 

 

[분석정보] CPU와 메모리의 속도 차이를 해소하는 캐시의 기초지식

 

 

[제품정보] Core 아키텍처 "Pentium Dual-Core" "Celeron" 등장

 

 

[벤치리뷰] 인텔 코어2 듀오 제국의 역습

 

 

[벤치리뷰] 185종 인텔 vs AMD CPU 벤치마크

 

 

[고전 2003/02/17] 100MHz 부터 3066MHz까지 65 CPU 벤치마크

 

 

[고전 2000.2.25] 인텔 사내경합이 낳은 Willamette 1.4GHz

 

 

[고전 2001.01.17] 10GHz CPU를 실현하는 Intel 0.03μm 트랜지스터 기술

 

 

[고전 2001.08.29] 베니어스 2003년 상반기 출시 발표, 3.5Ghz 펜티엄4 데모

 

 

[고전 2002.09.11] 이것이 Banias 플랫폼이다 CPU 마이크로 아키텍처 편

 

 

[고전 2002.09.19] Intel, 3 차원 구조의 "트라이 게이트 트랜지스터 ' 발표

 

 

[고전 2002.10.04] Pentium 8 후보 Nehalem 아키텍처

 

 

[고전 2001.11.27] 인텔 테라 헤르츠 트랜지스터 기술 발표

 

 

[고전 2003.02.20] Pentium M 1.60GHz의 처리 능력

 

 

[고전 2003.02.20] Intel 차세대 CPU Prescott의 정체를 밝혀

 

 

[고전 2003.02.27] Prescott,Tejas는 5GHz대, 65nm Nehalem은 10GHz이상

 

 

[고전 2003.06.12] Intel, 30nm 트라이 게이트 트랜지스터가 개발 단계에

 

 

[고전 2003.10.18] 모든 CPU는 멀티 스레드로, 명확하게 된 CPU의 방향

 

 

[고전 2004.07.21] 인텔 90nm 펜티엄 M 755 Dothan

 

 

[고전 2004.12.24] 폴락의 법칙에 찢어지고 취소된 테하스(Tejas)

 

 

[고전 2005.01.12] 암달의 법칙(Amdahl's law)을 둘러싼 Intel과 AMD의 싸움

 

 

[고전 2005.5.25] 도선 오버 넷버스트

 

 

[고전 2005.08.25] Intel이 차세대 마이크로 아키텍처 CPU를 공개

 

 

[고전 2005.11.30] 마이크로 아키텍처의 변화를 반영하는 "Core"브랜딩

 

 

[분석정보] 차세대 CPU Conroe의 내부 구성이 명확히

 

 

[분석정보] Intel의 차세대 CPU 아키텍처 Core Microarchitecture

 

 

[분석정보] 명확해진 Core Microarchitecture

 

 

[분석정보] AMD가 K8 코어의 부동 소수점 연산 유닛을 2배로

 

 

[분석정보] Rev.F의 다음 다음에 오는 AMD의 차세대 코어 Hound

 

 

[아키텍처] Core Microarchitecture 속도의 비밀은 CISC의 아름다움

 

 

[분석정보] 심플 코어로 향하는 차세대 CPU 아키텍처

 

 

[분석정보] AMD가 쿼드 코어 CPU Barcelona의 상세를 발표

 

 

[분석정보] 대폭 강화된 AMD의 쿼드 코어 Barcelona

 

 

[분석정보] SSE4 명령어와 가속기에서 보이는 Intel CPU의 방향성

 

 

[분석정보] 전면 개량이 아닌 부분 개량에 머문 Penryn

 

 

[분석정보] 고속화를 가져오는 Radix-16 Divider와 shuffle Engine

 

 

[분석정보] Intel, 45nm공정의 차기 CPU Penryn 자세히 공개

 

 

[분석정보] 결정된 헤테로지니어스 멀티코어에 대한 기류

 

 

[분석정보] x86에서의 탈피를 도모 Intel의 새로운 로드맵

 

 

[분석정보] 왜 인텔은 샌디브릿지에 AVX를 구현하는가?

 

 

[분석정보](암달의 법칙) 2010년대 100 코어 CPU 시대를 향해서 달리는 CPU 제조사

 

 

[분석정보] 20년 후인 지금도 곳곳에서 살아남은 펜티엄 아키텍처